노란봉투법이란?
- 정식 명칭: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안
- 별칭 의미: 2014년 쌍용차 해고 노동자에게 과도한 손배소를 제기한 데 대해 시민들이 ‘노란봉투’에 기부금을 담아 지원한 데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 목적: 노동자·노조가 단체행동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과도한 손해배상청구를 당하거나 형사처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법적 장치 마련
주요 내용 요약
1. 손해배상 제한
- 사용자가 노동자 또는 노동조합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
-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있는 경우에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명시
👉 파업 등 정당한 노조 활동에 대한 손배소를 어렵게 함
2. 부당노동행위 대상 확대
- 지금까지는 ‘근로자’에 대해서만 부당노동행위 금지가 적용되었으나
👉 개정안은 ‘노동조합’에 대해서도 부당노동행위를 하지 말 것을 명시
3. 노조의 쟁의행위 장소 확대
- 기존에는 사업장 내에서 쟁의행위가 제한적이었음
👉 개정안은 사업장 내 쟁의행위(파업, 집회 등)도 원칙적으로 허용
단, 안전 또는 주요 시설 보호 등 예외는 인정
4. 형사처벌 요건 강화
- 쟁의행위로 인해 발생한 형사처벌에 대해
👉 고의성이 명확하지 않으면 형사처벌을 제한
왜 논란이 되는가?
📌 찬성 측 주장
-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를 보장하고, 과도한 손해배상 청구로부터 생존권을 지켜야 한다
- 쌍용차, 화물연대 등 사례에서 수십억~수백억 원 손배소가 제기됨 → 노조 활동 위축
📌 반대 측 주장
- 기업 활동과 생산에 큰 피해를 주는 파업이나 점거 등에 대해
👉 정당한 손해배상 청구조차 막는 것은 기업의 재산권 침해 - 불법 파업에 면죄부를 줄 수 있다는 우려
관련 입법 경과
- 2023년 11월: 국회 본회의 통과 (야당 주도로 가결)
- 2023년 12월: 윤석열 대통령 거부권 행사 (재의요구권)
→ 국회에서 다시 3분의 2 이상 찬성이 없으면 법안 폐기 - 현재 상황: 재의 통과 어려운 상황이며, 법안은 사실상 좌초 상태
참고 사례
- 쌍용차 사건(2009): 파업 노동자들에게 470억 원 손해배상 청구
- CJ대한통운, 화물연대(2022~2023): 수백억 손배소 제기
- 시민들이 노란봉투 기부 운동 전개
이름의 상징성
- 노란봉투는 단지 ‘기부’ 이상의 의미로,
👉 사회적 연대와 노동권 보장의 상징으로 자리잡음
노란봉투법, 각 정당 및 단체의 입장은?
노란봉투법은 노동자들이 파업 등 단체행동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과도한 손해배상이나 형사처벌을 받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발의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입니다. 본 법안을 둘러싸고 각 정당과 단체들은 뚜렷하게 찬반 의견이 갈리고 있으며, 그 논거도 명확하게 다릅니다.
주요 정당 및 단체 입장 정리
주체 | 입장 | 주요 논거 |
---|---|---|
더불어민주당 (야당) |
찬성 | - 과도한 손배소는 노동권 위축 - 정당한 파업은 보호되어야 - 생존권 침해 사례 다수 |
정의당 | 찬성 | - 노동자 탄압 방지법 - 사회적 약자 보호 목적 - 재벌 횡포 견제 수단 |
국민의힘 (여당) |
반대 | - 불법 파업 조장 우려 - 기업 재산권 침해 - 국가경쟁력 저해 |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 |
반대 | - 법치주의 훼손 우려 - 불법행위에 면책 부여 - 강성노조에 면죄부 우려 |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 반대 | - 노사 균형 붕괴 - 기업 경영 피해 증가 - 국제 기준 위배 주장 |
대한상공회의소 | 우려 | - 합법/불법 경계 불분명 - 산업 환경 악화 가능성 |
민주노총 | 찬성 | - 노동자 생존권 보호 - 손배소는 노조 무력화 전략 - 노동탄압 사례 다수 |
한국노총 | 찬성 | - 헌법상 단체행동권 보장 - 무분별한 손배청구 관행 개선 |
찬반 입장 요약
✔️ 찬성 측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민주노총, 한국노총 등)
- 생존권 보호, 노동권 침해 방지, 정당한 단체행동 보장
- 생존권 보호, 노동권 침해 방지, 정당한 단체행동 보장
❌ 반대 측 (국민의힘, 대통령실, 경총 등)
- 불법 파업 조장 우려, 기업 피해 증가, 법치주의 훼손 가능성
- 불법 파업 조장 우려, 기업 피해 증가, 법치주의 훼손 가능성
핵심 키워드 비교
찬성 측 키워드 | 반대 측 키워드 |
---|---|
생존권, 노동 3권, 정당한 파업, 약자 보호, 민주주의 | 불법 파업, 법치주의, 재산권, 경제 피해, 투자 위축 |
노란봉투법은 노동자 권리와 기업의 자유 사이에서 균형을 찾기 위한 중요한 법안입니다. 각자의 입장과 이해관계를 존중하며, 합리적인 사회적 논의가 더욱 절실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