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세 몇 만 원 미납했는데, 신용등급 떨어지는 거 아냐?”
지방세 체납과 신용도(신용점수)는 관련이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실제 신용등급 평가 기준과 금융기관의 심사 방식을 바탕으로 주민세 미납이 끼치는 영향 여부를 정확히 알려드립니다.
목차 바로가기
결론부터 말하자면?
주민세 미납 사실 자체는 신용등급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즉, 신용평가사(KCB, NICE 등)의 신용점수에 즉각 반영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금융심사 및 대출에 간접적인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이 중요합니다!
신용점수에 반영되지 않는 이유는?
- 신용등급 산정은 금융거래 이력 기반 (카드, 대출, 연체 등)
- 주민세 미납 정보는 신용정보원에 공유되지 않음
- 즉, 지방세 체납 = 행정상 체납 기록, 신용정보는 아님
TIP: 단, 고액 체납자(500만원 이상)일 경우 국세청·지자체 홈페이지에 공개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일부 금융기관 심사에 간접적으로 활용됩니다.
그럼 어떤 경우에 영향을 받을까?
주민세 미납이 간접적으로 신용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 대출 심사 시 서류 제출 요구 – 지방세 완납증명서 요구
- 공공기관·공기업 입사 시 불이익
- 정부 지원사업 신청 시 감점 요인
- 고액 체납으로 압류, 재산정보 공유 시
즉, 신용점수는 그대로일 수 있지만 실질적인 심사·신청에서 탈락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합니다.
금융기관의 실제 심사 방식은?
다수 은행과 저축은행, 카드사, 캐피탈은 지방세·국세 체납 여부를 내부 심사 항목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 ▶️ 서류제출 시: 주민등록등본 + 납세증명서 요청
- ▶️ 체납 이력 있을 시: 한도 축소 또는 심사 반려
특히,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심사 강화 이후 주민세·재산세 등의 지방세 체납 여부도 리스크 항목으로 점검하는 금융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민세 납부 여부 확인 방법
주민세 납부 상태는 언제든지 다음과 같이 확인 가능합니다.
- 위택스(www.wetax.go.kr) 또는 서울ETAX 접속
- 공동인증서 로그인 → ‘지방세 납부내역 조회’
- ‘납세증명서’ 출력 가능 (체납 시 출력 불가)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주민세 1회 미납도 대출에 영향 있나요?
A. 일반적으로 소액 1회 체납은 영향이 없지만, 2회 이상 체납 기록이 있으면 서류심사에서 감점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Q2. 미납된 주민세 납부하면 기록이 지워지나요?
A. 네. 완납 후에는 체납 기록이 남지 않으며, 즉시 납세증명서 발급이 가능해집니다.
Q3. 신용점수 조회하면 주민세 체납도 나오나요?
A. 나오지 않습니다. KCB나 나이스에서는 주민세·지방세 체납 정보는 조회되지 않습니다.
Q4. 지방세 체납 사실이 공공기관에 공유되나요?
A. 일부 지원금 신청이나 창업자금 심사 시, 공공정보 조회 동의를 통해 확인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