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세를 안 냈다고요...? 전 그런 고지서를 받은 기억이 없는데요...”
이런 상황, 혹시 겪어보셨나요?
어느 날 갑자기 날아온 '체납 독촉장' 한 장에 당황한 30대 직장인 강준서 씨의 이야기를 통해, 어떻게 주민세 미납을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지 단계별로 안내드립니다.
사례: 갑작스러운 체납 통보
강준서 씨는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아파트 전세 계약을 마치고 이사한 지 1년이 조금 넘었죠. 그러던 어느 날, 출근길에 발견한 우편함 속의 등기 우편.
그 안에는 낯선 서류가 들어 있었습니다. “지방세 체납 고지서 - 주민세 미납 2건”. 금액은 총 60,000원. 작지만 충격은 컸습니다.
‘아니 이사하고 주민등록도 옮겼는데, 왜 이런 게 날아오지? 나 진짜 체납자인 거야?’
STEP 1: 내 체납 여부, 정확하게 확인하기
준서 씨는 스마트폰으로 위택스(WETAX)에 접속했습니다.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후 ‘납부할 지방세’ 메뉴를 확인하니, 진짜 체납금이 2건 나왔습니다.
- 2023년 주민세 균등분 30,000원 – 고지서 미수령
- 2024년 주민세 균등분 30,000원 – 자동이체 계좌 잔액 부족
두 건 모두 본인의 실수였던 셈입니다.
STEP 2: 납부할 수 있다면 즉시 납부
준서 씨는 바로 납부 페이지로 이동했습니다. 카드 결제도 가능했고, 계좌이체도 지원됐습니다. 위택스에서 두 건 모두 당일 처리 완료!
그리고 준서 씨는 실수 방지를 위해 전자고지와 자동이체 재설정까지 마무리했습니다.
STEP 3: 납부 여력이 부족할 땐 '분할납부' 신청
혹시 준서 씨처럼 금액이 적지 않아 당장 납부가 어렵다면, 방법은 있습니다. 위택스나 관할 구청 세무과에 전화해 분할납부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신청서를 팩스로 보내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3회~6회 분납이 가능하며, 첫 회차만 내도 압류 등 강제 조치는 중단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체납이 있는데 지금 납부하면 바로 압류 해제되나요?
A. 네. 체납금 전액 납부 또는 분납 1회차 납부 시 압류는 즉시 해제됩니다. 다만 공휴일이나 주말일 경우 처리까지 1~2일 지연될 수 있습니다.
Q2. 분할납부 신청은 온라인으로 가능한가요?
A. 일부 지자체에서는 위택스에서 신청 가능하지만, 대부분은 전화 문의 후 신청서 작성 → 팩스 or 방문 제출 방식입니다.
Q3. 주민세를 체납하면 신용등급에 영향 있나요?
A. 직접적인 영향은 없지만, 대출 심사나 정부 지원사업 신청 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