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 지원 대상: 만 24세, 신청일 기준 경기도에 3년 이상(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자. 단, 성남시·고양시는 2025년 사업 중단
- 지원 내용: 분기당 25만 원(연 최대 100만 원) 지역화폐로 지급. 사용 기한은 보통 3년, 일부 시는 5년
- 신청 방법: 분기별 온라인 신청 (예: 2025년 3분기: 7월 1일~8월 11일). 신청 시 주민등록초본,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해당자)
2. 중소기업 청년노동자 지원사업
- 지원 대상: 경기도 거주, 만 19~39세 이하 청년, 월급여 359만 원 이하, 도내 중소기업에서 주 36시간 이상 근무
- 지원 내용: 반기별 120만 원, 최대 2년간 총 480만 원(지역화폐)
- 신청 방법: 별도 공지 후 온라인 신청, 심사는 재직 여부 확인 후 진행.
- 중복 참여 유의: 청년연금, 복지포인트 등 유사사업과 중복 불가하나, 이미 종료된 경우 신청 가능
3. 청년 복지포인트
- 지원 대상: 경기도 거주, 만 19~39세 이하, 월급여 359만 원 이하, 도내 중소·중견기업·소상공인·비영리법인 주 36시간 이상 근로자
- 지원 내용: 반기별 60만 원, 연 최대 120만 원 복지포인트 지급 (전용 복지몰 사용)
- 신청 방법: 경기도일자리재단 온라인 접수 (잡아바)
4. 경기청년 역량강화 기회 지원사업
- 지원 대상: 경기도 거주 미취업 청년(실제 연령 기준은 시·군별 상이), 시험 응시일 기준 ‘미취업’ 상태로 인정됨
- 지원 내용: 어학·자격 시험 응시료 최대 30만 원 (횟수 제한 없이, 총 1,004종 대상)
- 신청 방법: 2025년 5월 2일~11월 30일까지 ‘잡아바 어플라이’ 사이트에서 온라인 신청, 선착순 처리
- 주요 FAQ 포함:
- 미취업 기준: 시험 응시일 기준 보험 직장가입자가 아니면 가능. 1년 미만 단기간 근로자는 미취업으로 간주
- 응시 횟수 제한: 없음.
- 시험 종류: 필기·실기·온라인·오프라인 모두 해당.
- 실패 시: 합격 여부 관계 없이 지원 가능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답변
청년기본소득, 몇 분기까지 받을 수 있나요? | 만 24세 해에 분기별 신청 가능, 연 최대 100만 원. 시 전입 여부 중요. |
임금 지원사업과 복지포인트, 중복 가입 가능한가요? | 둘 다 참여 중인 경우 중복 불가. 다만, 접수 기준일 이전 정상 종료된 경우 신청 가능 |
역량강화 사업, 시험 후 취업했어도 가능한가요? | 응시일 기준 미취업이면, 이후 취업해도 신청 가능 |
지역화폐 유효기간 지나면 남은 금액은 어떻게 되나요? | 기본 3년, 일부 지역은 5년, 이내 미사용 시 소멸. 사전에 사용처 확인 필요 |